"中, 국가 자금 투입된 신규 데이터센터에 외국산 AI칩 금지"

  • "공정률 30% 넘으면 개별 심사"

미국과 중국 국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국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국가 자금이 투입돼 건설되는 신규 데이터센터들에 중국산 인공지능(AI) 칩만 사용하도록 의무화하는 지침을 내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규제 당국은 최근 몇 주 동안 공정률 30% 미만 데이터센터들에 이미 설치된 외국산 칩을 모두 제거하고, 향후 구매 계획을 취소하라고 명령했다. 소식통들은 공정률이 30%가 넘는 데이터센터들에 대한 지침은 개별 심사를 통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지침이 전국적으로 적용되는지, 특정 성(省)이나 지역에만 적용되는지는 불분명하며 지침을 내린 규제 기관이 어디인지도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에 맞서 자국산 반도체 산업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당국이 최근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전력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에너지 보조금을 증액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들 기업이 자국산 칩을 쓰면 연산 능력과 전력 효율성 면에서 월등한 엔비디아 칩을 쓸 때보다 전력비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부산에서 열렸던 미·중 정상회담 이후 양국 간 무역갈등은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반도체를 둘러싼 갈등은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은 이번 ‘부산 담판’에서 반도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전혀 하지 않았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CBS 방송과 인터뷰에서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의 중국 판매를 허락하겠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최첨단 칩은 미국 외에는 누구도 갖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중국 정부의 이번 지침에 대해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일시 완화된 가운데 중국이 핵심 인프라에서 외국 기술을 배제하고 AI 칩 자급자족을 달성하려는 가장 공격적인 시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