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분산에너지 특구 확정...전남·제주·부산·경기 등 4곳 선정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전기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전기를 쓰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으로 전남, 제주, 부산, 경기 등 4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김성환 기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및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분산특구는 신산업활성화 유형으로 경기 의왕, 부산 강서, 제주 전역, 전남 전역 등 4곳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규제 특례를 적용하는 사업으로 앞서 산업통상부가 지난 5월 최종 후보 지역 7곳을 선정했지만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발표 시점이 연기돼 이날 공식 확정됐다. 경북 포항, 울산 미포산단, 충남 서산 등 3곳은 보류돼 추후 재심의될 예정이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특례가 적용돼 막혔던 에너지 신사업들이 허용되고, 지역 내 전력 생산·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저렴한 전기요금이 적용되며,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돼 지역 발전사들의 판매 경쟁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전남 지역은 가장 넓은 37만3855평 규모로 지정됐다.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내 생산-소비를 실현하고 인공지능(AI) 기술로 전력 생산-소비를 최적화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 대학교 등에 다양하게 실증한다.

또한 배전망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전망 운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제주 전역(5만5902평)은 전기차를 이용한 전력거래(V2G), ESS, 히트펌프를 활용한 전력-열(P2H) 전환 등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의 출력제어를 완화하고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신규 전력거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예정이다.

부산 강서(1511만평)는 ESS로 재생에너지 충전 및 인근 소비자(데이터센터, 항만)에 직접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직접 전력거래를 통해 다양한 요금제를 실현하고 데이터센터, 항만의 탈탄소 전환을 촉진한다.

경기 의왕시(286만평)는 ESS를 활용해 인근 전기차 충전소에 전력을 직접 공급할 계획이다. 경부하기 저렴한 전력을 충전했다 최대부하기에 전기를 공급해 소비자 요금 절감과 수도권 전력계통 혼잡 완화를 동시에 달성할 방침이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분산특구 및 에너지이용 합리화 계획이 에너지 시스템을 전환·혁신하고 나아가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대전환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