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 3분기까지 누적 김 수출액은 8억8233만 달러로 전년 동기(7억7366만 달러) 대비 14.0%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2억2225만 달러)의 4배에 달한다.
국가별 수출액을 보면 일본이 1억8975만 달러로 가장 많이 수입했으며 △미국(1억8325만 달러) △중국(8920만 달러) △태국(9298만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41.4% 늘었으며 일본과 미국은 각각 18.4%, 14.2% 증가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K-푸드 열풍으로 김 수출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이 인기를 끌며 김밥 등 김을 활용한 음식이 주목받아 수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앞서 해수부는 오는 2027년까지 1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관세가 15%로 확정되며 업체들이 김 가격을 올리면 현지 소비가 감소할 수 있으나 10억 달러는 넘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해수부는 K김을 한돈·한우처럼 브랜드화하기 위해 김의 명칭과 수출 규격 등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국제시장에서 김은 일본식 명칭인 노리나 씨위드로 불리고 있는데, 이를 'GIM'으로 표준화해 한국산 김을 하나의 브랜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10월 '김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 일환으로 해당 계획을 발표한 뒤 올 8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가 공동으로 설립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김 표준화 제안서를 송부했다.
해수부가 제출한 제안서는 CODEX 산하 아시아 지역조정위원회 의결을 거쳤으며, 현재 최종 제안서는 위원회에 상정됐다. 위원회는 이달 중 제안서를 심의해 한국이 주도하는 김의 국제표준화 작업 개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위원회가 승인 결정을 하면 한국은 6~7년간 우리 김 성분의 안전성 등을 증명하고 명칭 등을 표준화하는 작업에 돌입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