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한국 민관에 GPU 26만대 공급··· 젠슨 황 "한국, AI 중심에 설 자격 있어"

  • 삼성전자와 반도체 AI 팩토리 설립

  • 현대자동차와 손잡고 4조원 규모 AI 공동 투자 추진

30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시민에게 치킨과 감자튀김을 나눠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0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시민에게 치킨과 감자튀김을 나눠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가 정부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민관에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개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추진하고 있는 국내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와 산업별 AI 생태계 구축에 토대가 될 전망이다.
 
31일 엔비디아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계기로 "한국 정부와 민간 클라우드 전반에 26만 개 이상의 GPU를 공급하기로 했다"며 한국과의 AI 프로젝트 협업 소식을 발표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가속 컴퓨팅 인프라는 이제 전력망·인터넷망처럼 필수 기반이 되었다"면서 "한국은 '지능(intelligence)'이라는 새로운 첨단 기술을 수출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역시 "엔비디아와 함께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은 한국의 제조 경쟁력과 산업 역량을 강화하는 투자"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은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엔비디아는 삼성전자에 GPU 5만 개 이상을 투입해 반도체 AI 팩토리 설립할 예정이다. GPU와 중앙처리장치(CPU)를 통합한 슈퍼칩 '쿠다-X'를 비롯해 '쿠리소', '옴니버스' 등 엔비디아의 기술로 삼성전자의 반도체 제조 혁신과 수율 향상을 견인할 전망이다.
 
또 삼성전자의 제품 제조 자동화 및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전반에 '코스모스', '아이작 심' 등 적용해 삼성전자의 지능형 로봇의 상용화를 이끌고, 나아가 엔비디아의 로봇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윈윈' 전략도 펼칠 계획이다.
 
SK그룹에는 GPU 5만 개를 통해서 반도체 연구·개발·생산 및 디지털 트윈·AI 에이전트 개발에 지원 나선다. RTX PRO 6000 블랙웰 GPU 기반의 산업용 클라우드를 만든다.
 
현대자동차에는 블랙엘 GPU 5만 개 공급 이 외에 30억달러(약 4조원)규모의 AI 공동 투자를 추진한다.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를 비롯해 현대차 물리 AI 응용센터, 지역별 AI 데이터센터 등이 새롭게 설립된다.
 
한국 정부와도 직접적인 기술 협업을 강화한다. 엔비디아는 과기정통부와 함께 소버린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바탕으로 이른바 '한국형 AI 모델' 체계를 마련한다. 엔비디아의 '네모' 등 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추론형 언어모델(Reasoning LLM)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LG AI연구원을 비롯해 네이버 클라우드, NC AI, SKT, 업스테이지 등이 참여한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의 기술력과 제조 경쟁력은 AI 산업에서 중심에 설 자격 있다"며 한국과 다양한 기술 협업에 대해 기대심을 나타냈다.
 
이날 젠슨 황 CEO는 APEC이 개최되는 경북 경주를 방문해 'APEC CEO 서밋' 세션 특별 연설과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