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추경호 23시간 조사…계엄일 의총 장소 변경 추궁

  • 윤 전 대통령 등과 통화 여부·표결 방해 정황 조사

  • 추 전 원내대표 "정치보복 멈추고 민생 챙겨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친 뒤 나오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친 뒤 나오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소환해 23시간가량 이어간 조사를 마쳤다. 

특검팀은 지난 30일 오전 10시부터 31일 오전 9시 13분께까지 추 전 원내대표를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한 조사는 약 12시간 만인 오후 10시께 완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조서 열람에만 11시간이 소요되면서 조사가 최종 마무리되기까지 이례적으로 긴 시간이 걸렸다.

추 전 원내대표는 특검팀 사무실을 나온 뒤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 있었던 사실관계에 대해서 소상히 설명드렸다"며 "이제 정권은 정치탄압, 정치보복 중단하고 민생을 챙기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조서 열람이 오래 걸린 이유 등을 묻는 말에는 별도의 대답을 하지는 않았다.

국민의힘의 장동혁 대표와 정희용 사무총장, 박준태 당대표 비서실장 등은 전날 밤부터 추 전 원내대표 조사가 끝날 때까지 서울고검 청사 앞에 머물렀다.

전날 오전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한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 당일 총리, 대통령과 통화 후 의원총회 장소를 당사에서 국회로 바꾸고 의원들과 함께 국회로 이동했다"며 "만약 대통령과 공모해 표결을 방해하려 했다면 계속 당사에서 머물지 왜 국회로 의총 장소를 바꾸고 국회로 이동했겠나"고 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계엄 선포 이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당사→국회→당사'로 세 차례 변경한 이유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의총 장소 번복으로 다수 국민의힘 의원은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 등과 통화한 이유도 확인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차를 이용해 자택에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통화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과도 통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이들과 통화하면서 계엄 상황에서 여당 차원의 역할을 요구 받은 것은 아닌지 의심한다.

특검팀은 증언 확보를 위해 한동훈 전 대표와 김태호·서범수·김용태 의원에 대한 공판 전 증인신문 절차를 그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수사기관 조사가 여의치 않을 때 법원 재판 전에 증인으로 불러 진술을 확보하는 절차다.

박지영 특검보는 전날 브리핑에서 "추 전 원내대표를 조사했다 해도 공범 관련된 부분도 있기 때문에 공판 전 증인신문은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판 전 증인신문 청구를 철회한 김희정 의원의 경우 조사 일정과 방식이 합의돼 조만간 소환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또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국민의힘 의원 중 피고발인 신분으로 조사한 의원도 있지만, 추 전 원내대표의 공범으로 단정 지을 단계는 아니라고 밝혔다.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표결 방해를 지시했다면 의원들이 국회에 모이지 않도록 해야 했고, 통화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변경한 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의총 장소 변경에 대해선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으나, 당 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해 엇박자가 생겼으며, 국회 출입 통제가 더해져 불가피했다고 설명한다.

특검팀은 지난달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과 사무실, 의원실 등을 압수수색하며 해당 수사에 착수했다.

여야 의원들 다수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면서 계엄 날 밤 국회 내부 상황과 의원들 간 의사소통 내용 등을 파악했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상대로 제기된 의혹 전반을 조사하고,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