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 예산 51조5060억..."약자 동행에 15조 투입, 취약계층 보호"

  • 공공일자리·소상공인 지원 늘리고 노후 상하수관 등 인프라 정비

  • "채무 늘었지만 건전재정 유지...미래세대에 빚 절대 안늘려"

  • 부동산 공급 확대 중점…"국토부와 협의할 것"

30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6년 서울시 예산안 기자설명회에서 내년 서울시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30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6년 서울시 예산안 기자설명회에서 내년 서울시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51조5060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올해(48조1145억원) 대비 7.0%(3조 3915억원) 늘어난 액수다. 특히 오세훈 서울시장은 ‘약자와의 동행’ 분야에 전년 대비 8601억원 증액한 15조6256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 보호에 나선다. 또 역대 최대 규모인 22만5000개의 직접 일자리를 운영하고, 건설된 지 30년 넘은 노후 상·하수도관로 정비에 약 4500억원을 들이는 등 민생 안전에 집중한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예산안 기자회견을 열고 "건전재정 기조로 지난 4년간 채무 약 6000억원을 줄였지만, 올해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으로 불가피하게 채무 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미래세대가 갚아야 할 빚은 절대 늘리지 않겠다는 각오로 예산 편성에 임했다"고 밝혔다.

내년도 서울시 예산 편성에는 ‘동행, 안전, 매력’ 등 3대 중점 분야에 기반을 두고 편성됐다. 우선 '약자와의 동행'에 전년 대비 8601억원 증액(5.8%↑)한 15조6256억원을 투입한다. 4대 급여 지원으로 기초생활보장을 확대(4조7645억원)하고 돌봄SOS(361억원)를 더할 계획이다.

또 장애인 공공일자리는 전년 대비 383개 늘어난 5500개 운영(589억원)해 자립기반을 확충하고, 어울림플라자(98억원), 체육센터(106억원) 개관 등으로 장애인 사회 참여 기회도 확대한다.

생애주기별 지원도 확대한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주말특화형(야외·가변형), 공원형(실·내외 연계) 등 다각화 하고 지난달 기준 3만6000명이 가입한 '서울런'도 3.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236억원)한다.

안전한 서울을 위해 집중호우·지반침하·화재 등 도시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시민 안전 분야’ 투자도 강화한다. 건설된 지 30년 넘은 상·하수관로 정비(4477억원), 노후 열수송관 교체(60억원), 지하철 1~8호선 노후시설물 교체(923억원) 등 기반시설 전반의 내구력을 높이고, GPR·현장점검단 운영 등 점검 수단도 다각화한다. 

서울시민 4명 중 1명이 이용하는 ‘손목닥터 9988’은 2.0버전으로 개편해 510억원을 쓴다. 서울체력9988과 연계한 '손목닥터9988 2.0'을 비롯해 통곡물 섭취를 장려하는 '통쾌한 한끼' 식당 3000개소 인증, 편하게 찾아와 외로움을 진단하고 상담하는 서울마음편의점 확대에도 힘쓴다.

'AI·이공계 인재 양성'과 '산업 육성' 투자에도 집중한다. 청년취업사관학교, RISE, 이공계 장학금 '3종 세트'로 인재를 양성(1315억원)하고 미래산업 R&D 예산 497억원 중 100억원을 AI 분야에 투입한다.

새 랜드마크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2027년 운영을 목표로 남산 곤돌라 공사 및 활성화(170억원)에 본격 착수하고, 노들섬 글로벌예술섬(287억원), 제2세종문화회관(210억원) 추진에도 속도를 낸다.

마지막으로 취약계층이 치료를 미루지 않도록 의료비 대출 이자 지원, 소방공무원 심리상담센터 조성 및 출동간식비 단가 인상 등 사회공헌자를 예우하고 가족돌봄청년, 육아기 부모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생활복지 예산도 시행된다.

오 시장은 이날 예산안 브리핑에서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에 적용되는 임대주택 의무공급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얼마 전 가리봉동 (재개발 현장) 방문 때 조합 관계자가 ‘경제성이 떨어지는데 임대주택 비율을 줄여줄 수 없냐’고 간곡히 부탁하시더라”라며 “오늘 아침 회의 때 융통성 있게 대처하자고 얘기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오 시장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한 거래 감소로 지방세 확보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는 "정부의 10·15 대책이 결코 공급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집을 살 수도, 팔 수도 없게 만들고 비용이 더 많이 드는 월세로 가야되는 실존적인 고민에 처하게 만들었다"며 "정부는 시민들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방향으로 공급을 촉진하고, 부동산 가격을 하향시키는데 내년도 정책의 초점을 두고 우선순위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