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 해킹 피해 위약금·클라우드·산재 논란으로 국감서 뭇매

  •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에 이어 KT에도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국회측은 KT가 해킹 사고로 고객의 신뢰를 잃었다며 피해자뿐 아니라 불안감에 번호를 옮긴 고객에게도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현재 위약금 면제 대상은 2만2000명가량이며, 번호이동 고객은 약 3000명으로 파악됐다”며 “지적을 잘 알고 있고, 경찰 수사 결과와 피해 규모를 종합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감 질의에서 “SKT는 과거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 당시 전 고객에게 위약금을 면제해줬다”며 “KT 역시 안전한 통신 서비스 제공 의무를 다하지 못한 만큼 선제적으로 면제를 추진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아울러 이 의원이 로펌 자문 계획과 소급 적용 여부를 묻자, 김 대표는 “법적 쟁점이 있을 수 있어 자문을 검토하겠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이미 번호를 옮긴 고객에게도 소급 적용을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이 의원은 KT와 마이크로소프트(MS) 간 클라우드 계약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그는 “KT가 모든 클라우드 기능을 MS 애저(Azure)로 이전하면서, 핵심 시스템인 BSS·OSS 데이터를 MS에 제공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김 대표는 “MS 애저 플랫폼을 기반으로 우리가 직접 운영하는 형태”라며 “데이터는 국내에 저장되고, 고객 데이터 접근 권한은 KT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미국의 클라우드 액트(Cloud Act)에 따라 미국 정부가 요청하면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김 대표는 “그런 일이 없도록 계약 조건에 명시했다”고 선을 그었다.

KT 내 산재에 대한 문제 제기도 나왔다. 이 의원은 또 KT ‘토탈영업TF’ 조직 내에서 최근 발생한 직원 6명의 사망 사건과 관련해 “3명은 자살, 3명은 심장마비로 숨졌다”며 “유언장에 구조조정 관련 내용이 있었다. 제대로 조사했느냐”고 추궁했다. 

김 대표는 “조사 결과 구조조정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런데도 특별근로감독을 하지 않았다”며 “노조 탓으로 돌리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정부 조사를 받았고, 문제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