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행안부, 'AI 국민비서'로 공공서비스 혁신 나선다

  •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위한 업무협약'

  • 카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 이용 가능

카카오가 행안부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행안부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플랫폼을 통해 국민의 공공 서비스 편의성 제고에 나섰다. 

카카오와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공공서비스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카카오톡 내에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선보인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범 서비스 단계에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카카오는 다양한 공공기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카카오의 AI 기술과 연동해 ‘AI 국민비서(가칭)’를 구현한다.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행동 가능한 응답과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유해 콘텐츠의 필터링을 위한 AI 가드레일 모델인 ‘카나나 세이프가드’도 적용한다. AI가 윤리적 가치를 위반하는 위험한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사전 방지하는 기술로, AI 서비스에 탑재되어 신뢰성과 책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자체 개발 모델이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행정안전부와의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함께 구축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