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6G·양자·우주 기술 선점 나선다

  • 24일 Future 2030 서밋 개최···국내 첨단 기술 석학 총출동

24일 LG전자가 Future 2030 서밋에서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에서 활용하는 무인 지게차 로봇 제어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LG전자
24일 LG전자가 'Future 2030 서밋'에서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에서 활용하는 무인 지게차 로봇 제어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LG전자]
 
LG전자가 6세대 이동통신(6G), 인공지능(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고 26일 밝혔다.
 
LG전자는 지난 24일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 미래 기술 분야 연구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기술 목표, 유망 기술, 응용∙서비스 전망 등을 교류하며 미래 방향성을 논의하는 기술 교류 행사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부터 KAIST, KRISS와 기술 교류 행사인 6G 그랜드 서밋을 열어 온 가운데 올해부터는 △AI(Physical AI) △양자 기술(Quantum-X) △우주산업 기술(Space Tech) 등으로 주제를 넓혔다. 그간 구축해 온 산∙학∙연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급변하는 미래 기술 분야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 이광형 KAIST 총장 등 국가 출연 연구기관 전문가와 학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 했다. 
 
 LG전자는 다양한 미래기술 시연도 함께 진행했다. △주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6G FDR(Full Duplex Radio, 전 이동 통신) 신규 솔루션 △P5G 통신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내 수많은 로봇을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 △인공위성 등 대기권 밖에서 운영되는 비지상 통신망(IoT-NTN)을 활용해 사막, 산악지대 등 네트워크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차세대 음성통신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LG전자는 2019년 국내 최초 6G 산학연구센터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 6G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협력 벨트를 구축해 오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몰입형 실감 콘텐츠 전송과 통신-AI/센싱 결합 등이 가능한 6G 기술력을 AI홈,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등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김병훈 LG전자 부사장은 "다양한 연구개발 파트너와의 협력을 지속하며 6G, AI, 양자, 우주 기술 등 미래 핵심 기술에 대한 리더십을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