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세 크게 둔화…추가 대출 규제에 '대출절벽' 우려

  • 9월 한 달간 1조 늘어…주담대 증가 더뎌지고 신용대출 감소

  • 3차 부동산 대책, DSR 강화 등 선제 조치에 '대출절벽' 우려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국내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1조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 폭이 눈에 띄게 줄어든 가운데 정부의 3차 부동산 대책에 추가 대출 규제도 포함되면서 4분기 ‘대출절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규모가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늘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8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4조7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지난달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 증가분이 1조1000억원 수준으로 유지되는 동안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2조7000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에 더해 신용대출 잔액도 전월 대비 1조6000억원 줄면서 가계대출 확대가 더뎌졌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를 6·27 대책이 시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주택매매 계약 이후 잔금 지급일에 대출이 이뤄지는 만큼 계약 체결과 대출 실행 사이에 2~3개월 정도 시차가 발생한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매매 거래량이 △3만4000호(6월) △2만6000호(7월) △2만2000호(8월) 등 꾸준히 감소한 만큼 당분간 주택담보대출 규모도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3차 부동산 대책에 △주택담보대출 한도 2억~6억원 차등 적용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금리 상향 조정 △유주택자 전세대출 DSR 규제 적용 등 추가 대출 규제도 포함시켰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가팔라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며 주택거래량이 일부 증가했다”며 “향후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재차 확대될 우려가 있어 선제적인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권에서는 4분기 대출절벽 현상이 발생하면서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은행별로 대출총량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차주별 대출한도가 급격하게 축소되면서 대출이 매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특히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에 적용되는 스트레스 DSR 금리를 1.5%에서 3.0%로 확대한 게 차주들에게 뼈아프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말이 다가올수록 대출 공급자인 은행은 총량 관리에 나서야 하는데, 이번 추가 규제로 대출 수요자들도 여건이 나빠졌다"며 "스트레스 DSR 금리를 상향 조정한 것은 차주별 한도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