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열린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불공정 행위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 끼워팔기’ 의혹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이날 “플랫폼 입점업체와 소비자를 두텁게 보호하고 모든 경제주체가 상생할 수 있는 규율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정부에서 시행된 배달 플랫폼 자율규제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자율규제에 맡긴 뒤 오히려 플랫폼의 시장 지배력이 커졌다”며 “현 구조에선 업주들이 플랫폼이 정한 수수료를 거부할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MS의 ‘코파일럿 끼워팔기’ 문제도 집중 질의가 이어졌다. 주 위원장은 “공정위가 최근 현장조사를 실시해 법 위반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며 “끼워팔기를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와 가격 인상 등 전형적 독점 행위 가능성이 있어 신중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주 위원장은 “금산분리 제도의 취지와 첨단산업 투자 촉진 필요성을 균형 있게 고려하겠다”며 “관련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규제 완화 필요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배임죄 논란과 관련해서도 “완전한 폐지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