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IB "올해 대만 경제성장률 5%대 전망…한국은 1%대 정체"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해외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올해 대만의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5% 중반대로 전망했다. 반면 올해 한국의 성장률은 1%대에 턱걸이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로 집계됐다. 지난 8월 말 평균치(4.5%)보다 0.8%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IB 8곳 중 5곳은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노무라는 지난 8월 4.6%에서 9월 6.2%로 대폭 높였고, JP모건도 5.8%에서 6.1%로 올렸다.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메릴린치는 3.5%에서 5.2%, 씨티는 3.5%에서 4.4%로 올려잡았다. HSBC의 전망치는 3.3%에서 5.7%로 바뀌었다. 기존 전망치를 유지한 바클리, 골드만삭스, UBS 모두 5%대 성장률을 내다봤다.

대만의 성장률 상향 배경에는 반도체 수출 호조가 있다. 대만은 세계적인 인공지능(AI) 붐과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 속에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TSMC를 중심으로 대미 반도체 수출을 크게 늘렸다. 실제 대만은 올해 8월 월간 수출액에서 처음 한국을 앞섰고,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8%대를 기록하는 등 호황을 누렸다.

이에 반해 해외 IB들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로 간신히 0%대 저성장을 면할 것이라고 봤다. 지난달 JP모건이 0.8%에서 0.9%로, HSBC가 0.7%에서 0.9%로 각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IB 8곳의 평균 전망치에는 변동이 없었다.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대만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8066달러로, 한국(3만7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지금처럼 1400원대로 고공 행진할 경우 양국 격차는 이보다 더 벌어질 수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