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러시아가 5일 밤 대규모 복합 공격에서 외국산 부품 10만 2785개가 들어간 549개의 무기체계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격용 드론에 10만 688개, 이스칸데르 미사일 약 1500개, 킨잘 미사일 192개, 칼리브르 미사일에 405개의 외국 부품이 사용됐다며 미국·중국·대만·영국·독일·스위스·일본·한국·네덜란드를 부품 생산지로 지목했다.
젤렌스키는 KH-101 순항미사일과 이란 샤헤드 드론을 개량한 게란 드론 등에 어느 나라 어떤 부품이 들어가는지 일일이 열거한 뒤 "러시아는 또 네덜란드에서 만든 프로세서와 한국산 서보모터(정밀제어 전동기), 베어링을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주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제재 담당자 회의에서 체계적인 결정이 내려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6월에도 러시아가 무기 생산용 고정밀 기계를 외국에서 공급받고 있다며 한국 등 8개국을 언급한 바 있다. 러시아는 제3국에서 우회 수입하거나 현지 자회사로 서방 부품을 조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