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에 부상한 클라우드…민관 협력에 방점

  • NHN클라우드와 추가상면 할당 계약 체결

  • 전소된 96개 업무 시스템 PPP 이전 본격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는 지난달 29일 서울의 한 구청에서 시민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는 지난달 29일 서울의 한 구청에서 시민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전소된 96개 시스템의 복구 작업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전소된 시스템들을 대구센터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해 조속히 복구하겠다는 방침이다. PPP존에 입주한 민간 사업자 NHN클라우드의 인프라를 활용할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NHN클라우드가 국정자원 업무시스템을 PPP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하기 위한 추가 상면임대 사업자로 선정됐다. 상면은 데이터센터 내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NHN클라우드는 이번 화재로 전소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 구축을 담당한다. 현재 할당받은 추가 상면 내에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 인프라 증설을 위한 장비 조달과 함께 전기와 통신 공사에 착수한 상황이다.

NHN클라우드 관계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내 추가상면 임대 사업자로 선정돼,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준비에 착수했다"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목표 기간 내에 최대한 빠르게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전소된 96개 업무시스템을 대구센터 PPP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해왔다. 대구센터 PPP를 통해 시스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물리적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 보안이 인증된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다. 서비스 복구 기간도 약 4주로 줄일 수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민간 클라우드와의 협력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대구센터 PPP에는 삼성SDS·KT클라우드·NHN클라우드 등 3개 사업자가 입주해 있다.

모두 국가정보원의 클라우드 보안 인증 '상' 등급을 확보한 상태로, 민감 정보를 포함하는 국가망까지 관리할 수 있다. 완전 복구를 위해 PPP 입주 사업자 모두 행정 서비스 복구를 위한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정부는 민간 클라우드 우선 도입 기조 하에 2030년까지 공공 영역의 클라우드 전환 100% 달성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했으나,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올해 공공 클라우드 전환 수요는 33%에 그쳤다.

행정안전부의 ‘2025년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컴퓨팅 수요예보’에 따르면, 행정공공기관의 전체 정보시스템 1만6622개 가운데 1만4570개를 조사한 결과 클라우드 이용 예정 수요는 4893개였고, 이 중 민간 클라우드 이용 예정 수요는 2802개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