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CC는 지난 24일 공시한 자사주 활용 계획을 전면 철회한다고 30일 공시했다.
앞서 KCC는 보유 자사주 절반 이상을 교환사채(EB) 발행에 쓰겠다는 내용의 자사주 처분계획을 밝혔다. 자사주 17.24% 가운데 3.9%만 소각하고, 9.9%는 EB 발행, 3.4%는 사내근로복지기금에 출연하겠다는 계획이었다.
당시 KCC는 "이익 환원과 장기적 기업경쟁력 강화를 병행해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밝혔지만 주주가치 제고와 상반되는 행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EB는 기업이 가진 자사주를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으로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나중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선 유용한 자금 조달 수단이지만 주가 하락을 야기해 소액주주에게는 불리하다.
KCC 주주인 라이프자산운용은 지난 25일 "지분가치 희석을 유발하는 EB 발행 결정은 시장에 큰 충격"이라며 "보유 중인 삼성물산 지분부터 유동화해야 한다"는 내용의 주주서한을 KCC 경영진에게 보내기도 했다.
특히 '자사주 의무 소각'을 골자로 하는 3차 상법 개정안이 정기국회에서 논의되는 가운데 이뤄진 결정이라 소액주주들의 반발이 더 거셌다. 처분 계획이 공시된 24일 당일 KCC 주가는 11.75% 급락했다.
KCC 측은 "주주의 이익과 시장의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으며 투명성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경영 활동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과 기업가치 향상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태광산업도 지난 6월 24.41% 자사주 전량을 EB 발행에 쓰겠다는 처분 계획을 밝혔다가 논란이 커지자 철회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