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이 이날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용자들에게 실망과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박 본부장은 한강버스 정식 운항 결정이 성급했다는 지적에 "(정식 운항 전) 6개월 동안 테스트 기간을 거쳤던 만큼 조급하거나 무리한 시작이라고는 판단하지 않는다"면서도 "그러나 지난 11일 동안 여러 가지 결함이 미세하게 발생하면서,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을 끼치는 결과가 몇 차례 초래됐고 한 달 동안 시범운항을 하며 테스트해보자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선을 다해 한 달 안에 모든 테스트를 마칠 계획"이라며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잔고장, 그로 인한 신뢰의 추락은 막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테스트를 하고 10월 중 정식 운항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탑승객에 대한 신분 확인 절차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한강버스는 승선신고 의무 대상이 아니며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만큼 사후적으로 신원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오세훈 시장도 이날 오전 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대책 관련 브리핑 도중 “추석 연휴 때 가족과 함께 한강버스를 탈 계획을 세운 시민들이 계실 텐데 운행을 못 해 안타깝고 송구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운항을 중지하는 것에 여론의 중압감과 부담을 느낄 수 있지만, 그런 부담을 뒤로하고 전문가 의견을 듣는 기회를 가지면 좋겠다고 지시했다"며 "이번 기회에 (운항을) 중단하고 충분히 안정화시킬 수 있다면 그게 바람직하겠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한강버스는 이날부터 일반 승객을 태우지 않고, 한달여 동안 무승객 시범운항에 들어간다. 시는 지난 18일부터 한강에 친환경 선박 한강버스를 도입해 정식 운항을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 22일에는 잠실행 한강버스가 운항 중 방향타 고장이 발생했고, 같은 날 마곡행도 운항 준비 중 전기 계통 문제가 생겨 결항했다. 26일에도 운항 중 방향타 고장이 발생해 회항이 결정됐고, 이날 사고로 오후의 일부 배편 운항이 취소된 바 있다. 이에 시는 잦은 고장에 운항 차질이 반복되자 안정화 이후 다시 운항하겠다고 결정을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