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산·학·연이 힘을 모은 ‘피지컬 인공지능(AI)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닻을 올렸다. 정부는 이번 출범을 계기로 AI 3대 강국 도약 전략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29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풀만 호텔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가졌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한민국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며 "얼라이언스는 기술 주권 확보와 세계적 경쟁력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도 "AI가 현실 세계 기계, 로봇, 자율주행, 의료기기 등과 연결돼 산업 전반을 바꾸고 있다"며 "생산라인 자동화, 물류 효율 극대화 등 피지컬AI 신시장 개척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얼라이언스가 단순 협의체를 넘어 산업 현장과 긴밀히 연결된 피지컬AI를 육성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데 최우선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얼라이언스는 총 10개 분과로 구성된다. 5개 도메인 분과는 현대자동차(ADV분과장), 두산로보틱스(완전자율로봇분과장), HD현대중공업(주력산업분과장), 카카오헬스케어(웰리스테크분과장), 퓨리오사AI·리벨리온 대표(ACR공동분과장)이 맡았다. 이들은 피지컬 AI 기술개발 현장 활용 촉진 방안과 애로사항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5개 생태계 분과는 LG AI연구원(기술분과장), 네이버클라우드(솔루션분과장), SK쉴더스(거버넌스분과), 한국과학기술원(인재분과), AWS코리아(글로벌협력분과)가 책임진다. 이들은 피지컬AI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민‧관 협력 모델, 국제 표준화 대응 전략 및 정책 방향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배 장관은 "산업 현장의 난제 해결, 인재 양성, 데이터 확보,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 플랫폼으로 전방위적 혁신을 이끌겠다"며 "과기정통부는 산업부, 중기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기업들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