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사태] 정부 인터넷서비스 올스톱…금융권도 비상대응 체제 돌입

  • 공무원 카카오톡 의존…통계청·국세청 등 민원시스템 먹통

  • 4대 지주, 고객 대응 매뉴얼 배포…화재·추석연휴 이중고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부처 업무와 민원 서비스가 사실상 멈췄다.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등 정부 연계 서비스가 중단되자 금융당국과 금융사들도 즉시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이메일과 공인인증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공무원들이 업무 자료를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해 공유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그러나 단체 메일을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부처 내 업무 차질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민원 서비스를 포함한 주요 업무 시스템도 멈춰 섰다. 기획재정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 국고금 수납,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관세청 자유무역협정(FTA) 페이지, 금융위원회 홈페이지가 모두 ‘점검 중’ 화면에서 넘어가지 않았다. 국세청 납세증명서와 소득·급여증명 발급도 전면 중단됐다.

각 부처는 비상 점검 체제에 돌입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오후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주재해 ‘dBrain+’ ‘e나라도움’ 등 재정정보시스템과 기재부 홈페이지 등 13개 시스템에 대해 긴급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인증서(GPKI)와 내부 결재시스템 정상화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dBrain+의 자체 이중인증(ID·PW+OTP)과 자체 결재 시스템을 활용해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는 보고가 나왔다.


금융거래 차질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금융당국은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가동하고 연휴 금융거래 유의사항을 별도로 안내했다. 연휴 기간(10월 3~9일)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과 카드 결제일, 예금 만기를 모두 10일로 이연하고, 보험료·공과금 출금도 같은 날로 연기하기로 했다.

정부는 전산망을 최대한 신속히 복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기준 핵심 보안 장비 767대 중 763대(99%)에 대해 재가동을 완료했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현재 상황으로 볼 때 647개 서비스 중 551개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계획”이라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별도로 금융지주와 은행들도 위기 대응 체제를 가동하며 현황 점검에 나섰다. KB금융은 양종희 회장 주재로 비상 대응 회의를 열어 전 계열사 인프라를 점검했고, 신한·하나·우리금융도 은행장 또는 리스크 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진행했다. 각 지주사는 실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수단을 안내하고, 29일 영업 재개 후 대기 시간 증가에 대비해 콜센터 상담 인력도 확충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