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문자결제사기 등 각종 사이버 범죄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등 관계 따르면 최근 3년간 탐지된 문자결제사기 가운데 공공기관 사칭 유형이 27만여 건으로 전체의 54.3%를 차지했다.
특히 연휴 기간에는 △교통법규 위반에 따른 범칙금 부과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명절 선물 택배 배송 조회 등을 악용한 스미싱 문자 메시지가 집중적으로 유포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스마트폰 문자 확인 및 SNS 이용 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악성앱이 설치되면 개인정보 유출은 물론 원격조종을 통한 금융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앱 설치를 유도하는 요구에는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추석 연휴 동안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스미싱 확인서비스를 통해 접수된 문자사기 정보를 실시간 분석하고, 금융 피해를 유발하는 사기 사이트와 악성앱 유포지를 긴급 차단할 계획이다. 방통위 역시 이동통신 3사 및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추석 연휴 스미싱 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 중이다.
만약 악성앱 설치 등으로 금융정보 유출이 의심될 경우 거래 금융회사 영업점이나 콜센터를 통해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이미 사기범에게 송금한 경우에는 경찰청에 즉시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피해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고할 수 있으며, 의심 문자 수신이나 악성앱 감염 시 ‘118 상담센터’로 연락하면 24시간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