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평화경제특구법' 제정 이후 파주가 평화경제특구 최적지로서 지닌 가치와 당위성을 널리 알리며 시민 공감대 확산에 힘써온 파주시는, 왜 평화경제특구를 유치해야 하고, 왜 파주에 자리 잡아야 하는지를 시민과 함께 논의하기 위해 이번 ‘시민심포지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김경일 파주시장을 비롯해 시민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시민심포지엄’은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총괄 책임인 이영성 서울대학교 교수의 발제를 시작으로, 이원빈 연세대학교 교수, 조성택 경기연구원 센터장, 홍진기 지역산업입지연구원 원장이 참여해 ‘파주 평화경제특구 발전 방향’을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이영성 교수는 ‘평화경제특구 파주 유치를 위한 실행방안 및 향후 필요과제’를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파주에 평화경제특구를 약 350만 평 조성해 남북 협력이 재개된다면, 파주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약 5000만원에서 약 1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대한민국 전체적으로는 이 효과의 두 배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홍진기 지역산업입지연구원 원장은 "평화경제특구 조성과 함께 남북 협력이 본격화된다면, 경의축(서울~파주~개성~신의주)을 따라 억눌려 있던 파주의 성장 잠재력이 폭발적으로 발현될 것"이라며 "평화경제특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남북 관계 경색 국면 발생 시 대응 방안을 포함한 단계별 이행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파주시는 이번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2025년 11월 ‘평화경제특구 유치 염원 시민 걷기대회’, 2026년 초 ‘평화경제특구 비전선포식’을 차례로 개최해 평화경제특구 유치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파주시는 지티엑스 에이(GTX-A)와 더불어 내년에 개통되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 점점 편리해지는 교통과 첨단산업클러스터와의 연계성도 충분하기 때문에 평화경제특구의 최적지"라며 "평화경제특구가 파주시를 100만 자족도시로 만드는 기회이자 대한민국의 더 큰 경제성장을 위한 준비인 만큼 54만 파주시민과 함께 평화경제특구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