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팀)이 수사기간을 30일 연장했다. 김건희 여사에 대한 여러 의혹의 정점이 결국 윤 전 대통령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장 수사와 함께 윤 전 대통령 직접 조사가 임박했다.
박상진 특검보는 24일 오후 브리핑에서 "특검법상 수사기간 만료일인 오는 29일을 앞두고 주요 사건의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아 10월 29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장 사유로는 추가 증거 수집과 사실관계 규명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됐다.
연장 결정 직후 특검은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총재, 정원주 전 비서실장 등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관련 주요 인사를 줄줄이 불러 조사했다. 오전에는 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과 관련해 국토교통부에 있던 김모 서기관이 소환됐고, 오후에는 권 의원과 정 전 실장이 출석했다. 권 의원은 전날까지만 해도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나 변호인 설득으로 이날 조사를 받았다. '건진법사' 연루 의혹과 관련해서는 박남서 전 영주시장이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됐다.
수사 쟁점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권 의원은 모든 혐의를 부인했으나, 특검은 추가 금품수수 의혹까지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학자 총재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지 않아 직접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 특검보는 "관련 사건의 사실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조사와 증거 수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검은 이번 연장이 불가피했다고 강조했다. 구속된 인사들의 구속 시한만 해도 29일을 넘어가는 상황이고, 주가조작·코바나컨텐츠 협찬·관저 이전·양평 및 공흥 지구 의혹 등 주요 사건들이 미완 상태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공천 개입, 정당법 위반, 기업 관련 비리 사건 등도 수사 대상에 올라 있다. 특검 관계자는 "여러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법원 절차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날 오후 2시 10분 김건희 여사의 첫 공판이 열려 특검 인원 8명이 출석했다. 범죄수익 몰수 청구에 대한 법원 판단은 나오지 않았다. 향후 재판들의 중계 여부는 재판부 판단에 따르기로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조사에 대해 특검은 "필요성은 분명하다"면서도 "현재로선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했다.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팀)과 같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방문조사 가능성이 열려 있을 수도 있다.
특검은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한 특검법 개정안에 따라 사무실을 넓히고 파견 검사·공무원을 단계적으로 증원할 예정이다. 개정안에는 김건희 특검은 특검보를 2명, 파견 검사 30명, 파견 공무원 60명을 증원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