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관세 원투 펀치에 그로기 빠진 한국GM...3년차 비자레알 無전략 리더십 도마에

한국 GM 로고사진연합뉴스
한국 GM 로고[사진=연합뉴스]
저조한 국내 판매에 미국발(發) 관세 충격까지 겹쳐 그로기 상태에 놓인 한국GM이 타개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특히 취임 3년차에 접어든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사장의 소극적 리더십에 대한 지적이 많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한국 거점의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총체적 전략 부재가 스스로를 하청 기지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이다. 
 
22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GM의 관세 비용 11억 달러(1조5000억원) 가운데 절반인 7500억원이 한국 시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한국GM 영업이익(1조3567억원)의 55% 수준이다. 하반기에도 25% 고율 관세가 이어질 경우 한국GM의 연간 적자전환 가능성이 높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GM 판매량은 49만9559대(완성차)로 내수가 2만4824대, 해외 판매가 47만4735대다. 수출 의존도는 95%에 달한다. 주력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29만5883대), 트레일블레이저(17만8852대)로 가격은 2~3만 달러대다. 관세를 판매가에 더하면 기존 가격 대비 5000~1만7500달러(700만원~2440만원) 올라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업계는 한국GM의 소극적인 시장 대응이 지금의 위기를 불렀다고 지적한다. GM은 한국 진출 당시 국내 공장을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 수출 전진 기지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었다. 이후 본사가 글로벌 전략을 북미와 중국 중심으로 재편하면서 이 같은 전략은 힘을 잃었다. 업계 관계자는 "멕시코가 수익성 높은 '픽업트럭', 중국이 '신에너지 차량' 생산 거점으로 성장하는 동안 한국사업장은 내수 부진 탓만 하며 시간을 낭비했다"며 "호주, 인도네시아, 유럽, 인도 등 시장에서도 실적이 악화하면 발빠르게 발을 뺀 전례를 볼 때 최근의 '한국 철수설' 역시 위기 관리 능력 부재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실제 퇴로 마련에 적극적인 모양새다. 한국GM은 미국 관세 정책이 노골화한 지난 5월 전국 9개 직영 서비스센터와 부평공장 토지 매각 방침을 발표했다. 당시 비자레알 한국GM 사장은 "유휴자산 가치 극대화와 적자 서비스센터 운영 합리화는 지속 가능성 유지에 중요하다"며 "자산 매각을 통한 비즈니스 효율성 확보에 집중하겠다"고 언급했다. 
 
한국GM은 2018년 군산공장을 폐쇄하면서 공적자금 8000억원을 받는 대신 향후 10년간 한국사업장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시한을 1년 3개월여 앞두고 자산 매각에 돌입한 셈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직영 서비스센터를 팔고, 전기차 생산설비도 들여오지 않는 등 국내 판매량 확대나 미래차 대응을 위한 노력이 엿보이지 않는다"며 "만약 부동산 가치 상승에 기댄 유휴부지 매각으로 시세 차익만 거두고 떠난다면 인천 지역 경제 초토화는 물론 국부 유출 우려가 현실화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