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매력 도시, 사람을 위한 건축'을 주제로 오는 26일 첫 선을 보인다.
시는 26일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개막식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국내 최초 도시건축 분야 글로벌 행사로, 영국 출신 세계적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올해 총감독을 맡았다. 이번 행사는 11월 18일까지 열린송현 녹지광장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열린다.
헤더윅 총감독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외로움을 느끼는 오늘날 필요한 것은 우리를 하나로 모으고 소중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건물이다. 그러한 건축은 모두가 목소리를 낼 때 시작된다"며 "지금 도전 과제는 수 세대 동안 누구도 본 적 없는 방식으로 건축을 사회의 중심으로 세우는 일"이라고 기획 방향을 설명했다.

올해는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주제전부터 △도시전 △서울전 △글로벌 스튜디오까지 네 가지 전시를 선보인다.
주제전에서는 창작커뮤니티 9개팀이 참여한 '휴머나이즈 월(Humanise Wall)'과 '일상의 벽(Walls of Public Life)'을 전시한다. 휴머나이즈 월은 가로 90m, 높이 16m의 친환경 대형 조형물로, 38개국 110명 디자이너가 참여했다. 400여 건축물 이미지와 창작커뮤니티 9개 팀의 아이디어를 모은 1428장의 스틸 패널로 구성된 작품이다.
도시전에서는 21개 도시(15개국) 건축프로젝트 25개 작품을 소개한다. 세계도시의 건축물 외관이 각각 다채로운 표정을 지닌 도시의 얼굴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켄고 쿠마&어소시에이츠(KENGO KUMA & ASSOCIATES,INC.), 네리&후(Neri&Hu) 등 세계적인 건축가가 참여했다.
서울 주요 건축물을 중심으로 도시 변화를 조망하는 서울전, 인터랙티브 미디어 전시인 글로벌 스튜디오 등이 마련된다.
오는 27∼28일에는 '글로벌 개막포럼: 감성 도시'가 시청에서 열린다. 포럼에서는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주제로 건축물 외관이 인간의 건강과 행동,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랑받고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미래 도시건축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환영사와 헤더윅 총감독의 기조연설로 시작해, 유현준 홍익대 교수 사회로 건축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이 이어진다.
총감독이 진행하는 워크숍(9월 29일)과 강연(30일)을 비롯해 해외 참여작가들의 강연과 큐레이터 토크가 이어진다.
이외에도 드로잉 테라피, 건축가와 함께 서울 주요 경관을 달리는 '아키런', 각국 건축물 그려보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후 참여할 수 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비엔날레는 시민의 시선과 참여로 서울을 더 매력적이고 살기 좋은 공간으로 만드는 축제"라며 "함께 걷고 바라보며 도시의 미래를 공유하는 시간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