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6일부터 일본에 대한 자동차 관세를 27.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일본 자동차 업계는 일단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그러나 기존 2.5%에 비해 6배 수준으로 오른 셈이어서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겐 여전히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체들은 생산 체계 개선과 함께 자동차 세제 개선 등의 요구를 통해 총 2조6000억엔(약 24조4400억원)에 달하는 부정적 영향을 조금이라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16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 협상을 맡아 온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미 측이) 초기 논의 당시에는 자동차 관세 인하에 절대 응하지 않겠다고 했다”면서 “정부로서는 미·일 간 합의의 착실한 이행으로 보고 환영한다”고 말했다.
미·일 양 정부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15% 인하하기로 합의한 후 도요타 자동차와 혼다, 마쓰다 등 대형 자동차 기업 7개사는 2026년 3월기(2025년 4월~2026년 3월) 결산 영업 이익이 총 2조6000억엔 이상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밝히고 있다.
아사히는 “현재까지 일본계 제조사의 미국 내 판매는 원만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관세를 전가하기 위한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각사가 신중한 입장”이라고 전했다. 대형 기업들은 관세로 인한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미국 공장에서의 생산 증대나 차종 구성 재검토 등 대책에 나서고 있지만, 수많은 부품 제조사까지 포함하면 업계 전체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피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지난 7월 31일 일본자동차공업회의 회장이자 이스즈 자동차 회장인 가타야마 마사노리 회장이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만나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설명을 들은 후 “이번 타결을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15%는 작은 숫자가 아니다. 앞으로 다양한 차선책을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아사히는 “업계가 요구하는 ‘차선책’으로는 일본 내 자동차 구매 장벽을 낮추는 판매 지원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업계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자동차 세제의 근본적인 재검토”라고 짚었다.
자동차 세제와 관련해서는 차량 구매 시와 보유 시, 그리고 승차 시 연료에 각각 과세되어 왔으나, 업계 측은 사용자의 부담이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무겁다는 이유로 과세 항목의 폐지나 재편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아사히는 “대체 재원 확보가 쉽지는 않다”고도 전했다.
대형 제조사 담당자는 아사히에 “이전부터 요구해 오기도 했지만 업계가 관세로 어려움을 겪는 올해가 바로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