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反)이민 정책에 열광했던 강성 지지층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불법체류자 전면 추방을 공약했음에도 백악관 복귀 후 이민 정책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것이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나 유학생 문제에 대해선 유연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한국인 구금 사태가 대표적인 사례다. 미국 이민 당국은 한국 근로자들을 불법 체류 및 노동 혐의로 조사했지만 한국 정부의 반발과 외국인 투자 위축 우려가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체류 허용 방안을 검토하고 잔류를 요청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이민세관단속국(ICE)에 농장·호텔 등 이민자 노동력에 의존하는 업종을 단속 대상에서 제외하라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으나 며칠 만에 철회한 바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이민 정책이 농업 등 특정 산업에 미칠 타격을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학생 비자 정책에서도 혼선이 나타난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지난 5월 중국 유학생 비자 대대적 취소 방침을 밝힌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60만 명의 중국 유학생 수용 입장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을 대표하는 마조리 테일러(공화·조지아) 하원의원은 엑스(X·옛 트위터)에 "중국 공산당에 충성할지 모르는 60만 명의 중국 학생이 미국 대학에 다니도록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글을 올렸다. 극우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도 중국 유학생을 '공산당 스파이'로 규정하면서 비자 발급 반대 입장을 천명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바뀐 것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보수성향 싱크탱크 케이토연구소의 이민 분야 책임자 데이비드 비어는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수사를 사용하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에 대해선 어느 정도 열린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선 비교적 실용적인 시각을 지녔기 때문에 '모든 노동력을 미국인으로 교체하자' 식의 강성 지지층의 요구를 실현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애비게일 잭슨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 정책에 대해 매우 일관된 입장을 취해왔다"며 "불법체류자는 누구나 추방 대상이지만, 우선순위는 미국 사회를 위협하는 범죄자들"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