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3대 특검법과 관련된 여야의 협상 결렬 과정에서 제기된 논란에 "부덕의 소치"라며 사과했다. 여야가 전날 3대 특검법 개정안을 합의한 것에 대해 정 대표는 "지도부 뜻과 많이 다르다"고 하자, 김병기 원내대표는 정 대표의 공개 사과를 요구하는 등 특검법 개정안을 두고 내홍을 겪는 모습이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의원총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여야 간 협상 과정에서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 당 대표께서 '본인의 부덕의 소치'라며 당원과 국민, 의원들께 심심한 사과를 했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정 대표가 앞으로 (3대 특검법 개정안) 처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자 했다"고 전했다.
김병기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내란·김건희·순직 해병 등 이른바 3대 특검법 개정안을 수정 합의했다. 개정안에는 수사 인력 확대 최소화와 수사 기간 연장 조항을 삭제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협상안은 제가 수용할 수 없었고 지도부의 뜻과도 다르다"며 재협상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검법 개정안의 핵심은 기간 연장이라며 "연장을 안 하는 쪽으로 협상이 된 건 특검법 원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김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 "당 지도부 등과 긴밀히 소통했다"며 정 대표를 향해 공개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아울러 김 원내대변인은 향후 3대 특검법 개정안에 대해 "당내에서 지도부가 수정안을 만들어 올릴 것"이라며 여야 간 합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