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관영매체가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명동 등 국내 유명 관광지에서 벌어지는 반중(反中) 집회에 대한 대책 마련을 주문한 것과 관련해서 "단순히 '표명'에 그쳐선 안되며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11일 잔더빈 상하이 대외경제무역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주임(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한국의 정치 생태계를 고려했을 때 이 대통령이 한 달 새 국무회의에서 두 차례 유사한 발언을 한 것은 막대한 정치적 용기를 보여준 것으로, 이 대통령이 이 문제를 매우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같이 전했다.
잔 주임은 “한국 정부가 단순히 '표명(表態)'에 그쳐서는 안 되고, 후속 정책을 통해 이를 실제 성과로 전환할 수 있기를 더 기대한다”며 “한국에 있는 중국 국민과 관광객의 합법적인 권익을 진정으로 보장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구체적으로 그는 법과 규정에 따라 한국내 극우 행위를 규제하고, 교육·미디어·인문 교류를 통해 사회적 이성을 이끌어냄으로써 극단적 목소리에 여론이 왜곡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특히 "양국 정부가 정치·경제무역·문화관광·청년 교류 방면에서 협력을 더 확대해 대다수의 국민들이 양자간 우호의 가치를 체감하고 극우 세력이 설 자리를 잃게 해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잔 교수는 전했다.
잔 교수는 "극우 단체의 반중 행위는 한국 경제와 국민의 실질적인 이익을 해치고 있다"며 "이들이 '표현의 자유'라는 명분을 내세워 (중국인을) 차별하는 것은 결국 한국 상인들이 고객을 잃어 한국 경제가 스스로 돈줄을 끊게 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반중 시위는 한국의 국제 이미지에도 손상을 입혔고, 중한 간의 신뢰 기반에도 충격을 줬다"고도 진단했다. 한국의 새 정부 취임 후 한·중 관계는 양호한 출발을 했지만, 한국의 극우 세력이 거리에서 차별과 증오를 퍼뜨리고, 양국 관계 분위기를 악화시키며, 상호 신뢰에 장애물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잔 교수는 “중국은 그동안 한국에 대한 일방적 무비자 정책 시행, 2025~2026년 한·중·일 문화 교류의 해로 설정하는 등 선의와 성의를 보여줬고, 한국도 얼마 전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임시 입국 무비자 정책을 발표했다”며 "한국 극우파의 차별적 언행은 양국간 간 이러한 교류 협력의 시대적 흐름과 맞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잔 교수는 “말보다는 행동을 더 살펴야 한다”는 태도로 한국 정부가 조속히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여 실질적인 행동을 통해 중한 관계의 협력 국면을 유지하고 양국 국민의 실질적인 이익을 보호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