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6 곳은 채용계획 '미정"...하반기 고용시장 '먹구름'

  • 매출액 500대 기업 2025년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한경협
[이미지=한경협]

매출액 500대 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계획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침체 장기화,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의 영향으로 올해 하반기 채용시장이 더 어두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0곳 중 6곳(62.8%)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11일 밝혔다.

구체적으로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은 38.0% △채용이 없는 기업은 24.8%였다.

올해 하반기 채용 '없음'이라고 응답한 기업(24.8%)은 작년 하반기(17.5%)보다 7.3%p 증가했고, 채용계획 '미정'이라고 응답한 기업(38.0%)은 작년 하반기(40.0%)보다 2.0%p 감소했다.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37.2%) 중 전년 대비 채용 규모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기업은 37.8% △줄이겠다는 기업은 37.8% △늘리겠다는 기업은 24.4%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37.8%)은 지난해 하반기(17.6%)에 비해 20.2%p 늘었고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24.4%)은 지난해 하반기(17.6%)보다 6.8%p 늘었다.

한경협은 "올 하반기 채용계획이 없는 기업 비중(24.8%)이 작년(17.5%)보다 크게 늘었고, 채용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 비중(37.8%)도 작년(17.6%)보다 2배 이상 증가해 채용시장이 지난해에 비해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해 기업은△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및 기업 수익성 악화 대응을 위한 경영 긴축(56.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 비용 부담 증대(12.5%)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고환율 등으로 인한 경기 부진(9.4%)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경기 상황에 관계없이 미래 인재 확보 차원(45.4%)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36.4%) △기존 인력 이탈에 따른 충원(18.2%) 등을 꼽았다.

업종별로는 하반기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건설·토목(83.3%) △식료품(70.0%) △철강·금속(69.2%) △석유화학·제품(68.7%) 순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건설업 침체 장기화, 식료품 원가 부담과 내수 부진,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글로벌 공급과잉 및 석유화학 제품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식료품·철강·석유화학 등 주요 업종들이 불황을 겪으면서, 기업들이 신규 채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청년들은 취업난, 기업 현장에서는 적합한 인재를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도 심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신규채용 관련 애로사항으로 '적합한 인재 확보의 어려움'(32.3%)을 가장 많이 꼽았다.

구체적으로 △요구수준에 부합하는 인재 찾기 어려움(29.4%) △신산업·신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 인재 부족(2.9%)으로 나타났다.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직군으로는 △연구·개발직(35.9%)을 가장 많이 지목했으며, 이어서 △전문·기술직(22.3%) △생산·현장직(15.9%)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투자․고용 확대 유도(38.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2.3%) △신산업 성장동력 분야 기업 지원 강화(10.7%) △구직자 역량과 채용자 니즈 간 미스매치 해소(10.7%) 등을 지목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통상질서 재편과 내수 침체 장기화 등으로 전통 주력 산업은 활력을 잃고, 신산업 분야 기업들도 고용을 확대할 만큼의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노조법·상법 개정으로 경영환경이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서, 정부와 국회는 각종 규제 완화 및 투자 지원 등을 통해 기업들의 고용여력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