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증권거래소 내부 전경.[사진=AP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2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미 항소심 결정에 따라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9.07포인트(-0.55%) 내린 4만5295.81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72포인트(-0.69%) 내린 6415.54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5.92포인트(-0.82%) 내린 2만1279.63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법원은 지난달 29일 항소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에 대해 대부분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등을 부여하는 근거로 삼은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이 관세를 부과할 권한까지 주는 것은 아니라며 관세를 부과할 권한은 의회에 있다고 판단했다.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법원 결정이 연방대법원에서 확정될 경우 관세 수입 감소와 함께 재정 적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채권 시장의 우려가 커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상고 방침을 밝힌 만큼 상호관세의 적법성과 관련한 최종 결정은 대법원이 내릴 전망이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글로벌 채권의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27%로 전 거래일 대비 4bp(1bp=0.01%포인트) 올랐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상승은 채권 가격의 하락을 의미한다.
장기채인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4.97%로 전 거래일 대비 5bp 상승했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5% 선 돌파를 시도하며 지난 7월 이후 1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베어드 프라이빗 웰스 매니지먼트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미 CNBC에 “30년 만기 국채 금리가 5%에 가깝다는 건 의심의 여지 없는 역풍”이라며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된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식 시장에 (이 같은 국채 금리는) 앞으로도 계속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서 엔비디아(-1.97%), 테슬라(-1.35%), 애플(-1.04%), 아마존(-1.60%) 등 주요 기술주들이 이날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8월 중 뉴욕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돌파한 가운데 9월 미 증시 실적이 역사적으로 좋지 않았다는 점이 부각된 것도 증시에 부담을 줬다.
투자자들은 오는 5일 발표되는 미국의 비농업 고용보고서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은 7만5000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 7월(7만3000건)보다 소폭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넉 달 연속 10만명을 밑돌아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당시인 2020년 이후 가장 부진한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관측된다. 실업률은 7월 4.2%에서 8월 4.3%로 상승할 전망이다.
고용시장이 냉각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고용 상황이 예상 밖으로 강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오는 9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