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5동 농림축산식품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정부가 올해 쌀 45만t, 콩 6만t을 공공비축한다고 2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올해 공공비축 매입물량과 매입가격 등을 포함한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
정부는 기후변화, 천재지변 등으로 식량 부족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 주요 식량을 비축하는 공공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된 비축 물량은 쌀 45만t, 콩 6만t 등이며 향후 세부계획을 수립해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평균 산지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하고 매입 직후에 농가에게 중간 정산금으로 40kg 포대당 4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친환경벼 전환 농가가 희망시 전량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한다. 이를 통해 고품질쌀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올해 쌀 매입물량에는 가루쌀 5만t도 포함돼 있다. 시·군별 매입 물량은 지난 2월 사전 배정됐고 친환경 쌀의 경우 인증 시기 등을 고려해 추후 배정된다.
매입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에 정한 2개 품종으로 제한한다.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경우 농가는 다음 연산 매입 시부터 5년간 공공비축미로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매입한 공공비축미는 향후 국내 수급상황에 맞춰 군급식, 가공용, 주정용, 식량원조용 등으로 판매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올해도 공공비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올해 공공비축 매입물량과 매입가격 등을 포함한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
정부는 기후변화, 천재지변 등으로 식량 부족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 주요 식량을 비축하는 공공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의결된 비축 물량은 쌀 45만t, 콩 6만t 등이며 향후 세부계획을 수립해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평균 산지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하고 매입 직후에 농가에게 중간 정산금으로 40kg 포대당 4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친환경벼 전환 농가가 희망시 전량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한다. 이를 통해 고품질쌀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올해 쌀 매입물량에는 가루쌀 5만t도 포함돼 있다. 시·군별 매입 물량은 지난 2월 사전 배정됐고 친환경 쌀의 경우 인증 시기 등을 고려해 추후 배정된다.
매입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에 정한 2개 품종으로 제한한다.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경우 농가는 다음 연산 매입 시부터 5년간 공공비축미로 출하할 수 없게 된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매입한 공공비축미는 향후 국내 수급상황에 맞춰 군급식, 가공용, 주정용, 식량원조용 등으로 판매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올해도 공공비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