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 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지 와일스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과 이번 회담의 숨은 조력자로서 역할을 수행한 일화를 설명했다. 특히 강 실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SNS를 통해 ‘숙청’ 등을 언급한 것에 오해를 풀어나간 과정을 공개했다.
강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 약 2시간 전 와일스 실장과 회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강 실장은 “처음 인사를 간단히 하고 트루스소셜에 관해 얘기했다”면서 “그 뒤로 만남의 의미와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얘기했다. 와일스 실장은 협상과 관련한 몇 가지 질문을 했고 저도 질문을 했다. 우리가 뭘 답답해하고 어려워하는지, 미국은 뭘 원하는지 허심탄회하게 얘길 나눴다"고 설명했다.
실제 양국 비서실장 간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으로부터 특검 수사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전해 들은 뒤 공식 석상에서 "오해라고 확신한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두 비서실장의 물밑 조율 덕에 정상회담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마무리될 수 있었고, 강 실장은 와일스 비서실장에게 영어로 짧게 "좋은 대화였다. 고맙다"고 인사를 건네자 와일스 실장이 웃음으로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강 실장은 "40분 대화하는 동안 와일스 실장이 민망할 정도로 안 웃었는데, 그때 한번 웃어줬다"며 "'본인도 역할을 했다'는 취지로 저는 해석했다"고 회상했다.
한편 강 실장은 양국 비서실장 간 핫라인을 구축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첫 통상협상 과정에서 다양한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강 실장은 해당 상황을 이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승인을 얻어 안보라인을 통해 와일스 실장과의 만남을 추진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처음 구축된 비서실장 간 핫라인은 대통령의 정상외교 등을 보좌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 실장은 "보통 핫라인은 다른 라인의 연락이 안 될 때 쓰는 것인데, 지금은 연락이 잘되고 있다"며 "보조적인 역할로 비서실도 소통하기로 했다는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