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이 “드론과 UAM은 산업과 인공지능과 결합해 물류, 안전체계 전반에서 그 파급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변화를 얼마나 안전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일상에 안착시키느냐가 중요 과제”라고 말했다.
강희업 차관은 27일 아주경제신문과 안태준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동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주모빌리티포럼’에서 서면 축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강 차관은 모빌리티 산업과 관련해 “농업, 소방, 시설관리, 물류, 항공 등의 현장에서 더 높은 수준의 기술과 즉시 활용 가능한 실행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부품 국산화, 현장 맞춤형 기체 개발, 안정적인 생산기반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는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을 제정하고 자격시험, 안전성 인증 등 제도와 기술의 토대를 다져왔지만, 산업구조의 영세성, 핵심부품 해외 의존, 현장과 제도 간 간극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여전히 많다”고 지적했다.
강 차관은 “이번 포럼은 이러한 현실을 공유하고,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함께 해법을 찾는 자리”라며 “현장의 목소리는 규제개선과 기술개발을 이끄는 힘이자 정책을 현실에 맞게 조율하는 나침반이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드론과 UAM 산업이 안전하고 신뢰받는 미래 모빌리티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