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민간투자 신규사업 발굴목표를 당초 18조7000억원에서 1조원 늘린 19조7000억원으로 상향조정한다. 최근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신산업 발달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민자사업 추진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기획재정부는 22일 안상열 기재부 재정관리관 주재로 민간투자학회, 유관기관 등이 참여한 민간투자사업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에너지 분야에서 탄소중립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수소 등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를 민간투자로 뒷받침하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앞서 지난 7일 열린 1차 간담회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항만·하천 정비사업, 저류시설, 노후관로 개량 등 다양한 신사업(안)을 논의했다.
안 재정관리관은 “민간투자 신사업(안) 발굴과 동시에 민간사업자·주무관청이 사업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병행할 것"이라며 “현장에서 제기된 애로·건의사항은 제도개선 과제로 구체화해 4분기 '민간투자 활성화 대책'에서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과학기술·생활SOC 등 신사업수요가 많은 분야를 대상으로 민간투자사업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개최(월 1회)해 현장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