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지구 위한 공공 활동에 경의"…게이츠 "韓 글로벌 보건 개선 기여 기대"

  • "한국 바이오 사이언스 제품 경이로운 수준"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 접견 중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 접견 중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방한 중인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과 만나 글로벌 보건 협력 방안과 AI(인공지능) 등 미래 산업,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등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날 접견과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윈도우즈로 세상을 보는 상을 넓힌 소프트웨어 혁신의 의의를 평가하며, 백신 개발 등 글로벌 보건과 친환경 발전 시설 개발 등 새로운 공공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백신 개발이나 친환경 발전 시설 개발로 인류를 위한 새로운 공공재 개발에 나섰는데, 참 존경스럽다"며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적 활동에 대해서 경의를 표하고,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최대한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빌 게이츠 이사장은 "취임 초기에 이 대통령을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거의 유일하게 세계 복지 수증국에서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이 글로벌 보건 개선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AI 과학 기술의 등장과 함께 발전과 진보도 있지만, 의료 서비스 분야의 비용 상승이나 저소득 국가에서의 차별이 우려된다"며 "다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도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게이츠 이사장은 우리의 혁신적인 바이오 제품을 활용한 세계 보건 분야의 핵심적 역할을 주문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의 바이오 사이언스 제품들은 경이로운 수준"이라며 "IVI, 즉 국제백신연구소의 연구부터 시작해서 SD바이오, SK, LG, 유바이오로직스까지 10년 전까지만 해도 굉장히 작았던 한국의 산업들이 너무나 크고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또 게이츠 이사장은 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전력 수요 증가에 대한 해법을 언급하자 이 대통령은 "한국 정부도 차세대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관심이 많고, 소형 원자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이 많다"고 말했다.

오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는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를 잘 나누라"고 덕담했고, 이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슬기롭게 잘 대화하겠다"고 대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