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 정책실장은 “대통령께서 오늘도 공공기관 통폐합을 제대로 하라고 지시했다”며 “대통령비서실장을 중심으로 한 TF를 꾸려 공공기관 개혁 논의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3일 ‘나라 재정 절약 간담회’에서 “공공기관이 너무 많아서 숫자를 못 세겠다”며 구조조정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현재 국내 공공기관은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을 포함해 총 331개에 달한다.
김 실장은 발전 공기업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한전과 자회사(젠코) 체계는 심판과 선수가 함께 있는 구조”라며 “신재생에너지 시대에 맞는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향후 정부조직 개편과 맞물려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한전 체계의 전면적인 재편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이다.
그는 “공공기관의 효율성과 거버넌스 개편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TF 회의에서 중점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회 본회의를 앞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실장은 “원·하청 노사 상생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법”이라며 “파업 없이도 분쟁을 해결할 수 있고, 하청 비정규직 처우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각의 ‘기업 해외 이전’ 우려에 대해서는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며 “그럴 경우 다시 개정하면 된다”고 일축했다.
로이터 통신이 미국 정부가 인텔에 이어 삼성전자 등 외국 반도체 기업의 지분 확보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것에 대해 김 실장은 “금시초문”이라며 “인텔과 외국인 투자기업의 상황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