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 "인텔 이어 삼성전자·TSMC 등 칩스법 기업들에도 지분 참여 검토"

  • 백악관 대변인 "전례 없는 창의적인 시도"

인텔 반도체 칩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인텔 반도체 칩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칩스법(반도체법) 지원을 받는 반도체 기업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확보하는 방안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시간) 백악관 관계자를 통해 정부가 인텔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대신 지분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인텔 외에도 마이크론, TSMC, 삼성 등에도 같은 방안을 적용할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인텔과의 지분 딜이 진행 중임을 확인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안보적으로 미국의 필요를 최우선으로 두고 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창의적인 시도”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정부가 인텔 경영에 간섭할 의도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이번 조치가 미국 정부가 주요 기업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정부가 기업 지분을 확보한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올해 초에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과정에서 ‘황금주’ 조건을 붙여 대통령 승인 없이는 투자 축소, 해외 이전, 공장 폐쇄 등을 할 수 없도록 한 바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칩스법 논의에 참여하고 있으나 러트닉 장관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무부는 칩스법을 통해 총 527억 달러(약 73조3800억원) 규모의 연구 자금과 반도체 공장 건설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말 상무부는 삼성에 47억5000만 달러, 마이크론에 62억 달러, TSMC에 66억 달러의 보조금을 확정했다.
 
러트닉 장관은 지분 확보 방안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지난 6월, 러트닉 장관은 일부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제정된 칩스법 보조금이 “과도하게 후하다”고 비판하며 조건 재협상 방침을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