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이 미래 농업 선도기업으로 국내 최초 수확량 모니터링과 3단계 자율작업 기능을 탑재하고, 무선 펌웨어 업데이트(FOTA)로 최신 기능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6조 콤바인 DH6135-A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DH6135-A는 143마력 디젤 엔진과 6조 예취부, 그리고 2000L 대용량 곡물 탱크를 기반으로 넓은 면적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주행부와 예취부가 독립된 동력 전달 구조로 다양한 환경(도복, 습전)에 따라 예취 속도를 제어하고, 주행 중 정지할 필요 없이 버튼 하나로 변속 할 수 있는 2 SPEED HST를 탑재해 조작 편의성을 강화했다.
또한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수확 작업이 완료된 농경지 구역별 곡물 수확량을 콤바인 내부 모니터 또는 대동 커넥트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앱에서는 구역별 수확량을 가로X세로 최소 5m에서 최대 20m 그리드 형태의 색상 분포도로 시각화 표기해 쉽게 수확량을 확인할 수 있다.
대동은 수확량 맵에 연도별 비교 기능을 추가해 농경지 별로 시비(비료 살포), 방제(약제 살포), 토양 개량 등의 농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정밀농업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고도화 할 계획이다.
이 제품은 3단계 자율작업 기능으로 누구나 최소한의 운전으로 편하게 쉽고 수확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콤바인으로 수확할 농경지 외곽을 최대 3바퀴 돌면 수확 구역과 선회 반경이 설정되고 여기에 알파 턴, C 턴 등의 선회 방식을 선택하면 자율 수확 작업 경로가 세팅된다.
이후는 경로를 따라 콤바인 스스로 수확 작업을 진행하고, ‘배출 장소 자율주행’ 기능으로 곡물 탱크가 만 층 시 지정 장소로 콤바인 자동 이동하기 때문에 곡물 배출을 위한 운전도 필요 없다.
자율작업 간 작물과 콤바인 분할기 위치가 벗어나면 좌우 5cm 간격씩 추종 경로를 임시 수정하여 미수확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라인 시프트 기능(Line shift)도 채택해 더욱 정밀하고 쉽게 자율 수확 작업을 할 수 있다.
내부 테스트 결과 1필지에 해당하는 1200평의 논을 수확하는데 평균 60분 정도가 소요되고, 이중 농경지 외곽 수확과 선회 방식 입력 등의 자율 수확 작업 설정 시간이 12분 정도 걸리기에 작업자 운전 시간은 20%에 불과하다.
하루 8~9시간에 걸쳐 1만 평의 논을 수확하는데, 작업자의 운전 시간은 2시간으로 작업 피로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여기에 대형 필지를 500평 단위로 자동 나누는 충분할 기능으로 넓은 농경지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이광욱 대동 국내사업부문장은 “DH6135-A는 작업자의 운전을 최소화한 스마트 콤바인으로 농촌 고령화와 인력 감소 등 농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며 “앞으로도 대동은 AI와 정밀농업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설루션을 개발해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