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김예성 동시 소환…특검, 집사 게이트 정면 수사

  • IMS모빌리티 투자·자금 유입 의혹 추궁

  • 대질신문 검토하며 수사 범위 확대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지목된 김예성씨가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지목된 김예성씨가 지난 15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가 18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재소환된다. 김 여사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도 동시 소환조사가 예고돼 '집사 게이트' 수사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여사는 18일 오전 10시 특검팀에 출석한다. 지난 12일 구속 이후 두 번째 소환조사다. 지난 14일 이뤄진 첫 조사에서 김 여사는 대부분 진술거부권을 행사했다.

특검팀은 같은 날 같은 시각 김 여사 일가 측근인 김예성씨도 소환한다. 특검팀은 17일 언론 공지를 통해 "구속 피의자 김예성씨를 18일 오전 10시에 소환한다"고 밝혔다. 지난 15일 김씨를 구속한 후 첫 조사다.

김씨는 특검팀의 주요 수사 대상 의혹인 집사 게이트의 '키맨'으로 꼽힌다. IMS모빌리티가 2023년 카카오모빌리티와 신한은행, HS효성 등 유수 기업에서 184억원을 부정하게 투자받았다는 의혹이다. 투자 당시 IMS모빌리티는 순자산(566억원)보다 부채(1414억원)가 많아 사실상 자본잠식 상태였다.

특검팀은 당시 투자사들이 경영상 현안이 있거나 사법리스크에 직면해 있어 김씨와 김 여사 간 친분을 고려해 일종의 보험성 또는 대가성 자금을 제공했다고 의심한다. 김씨가 빼돌린 자금과 각종 수익금이 김 여사 일가에 흘러갔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팀은 15일 법원에서 김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받았다. 영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등 혐의를 적시해 청구했다. 김씨가 실소유한 차명 법인을 통해 IMS모빌리티 투자금 가운데 총 33억8000만원을 빼돌렸다는 범죄사실이 적시됐다.

특검팀이 김씨 신병을 확보해 조사에 들어감에 따라 해당 의혹의 실체를 파헤치는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김 여사와 김씨를 대질신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14일 김 여사를 구속 후 처음 소환해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추궁했으나 김 여사는 대부분 진술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조사 시간은 쉬는 시간을 제외하면 2시간 남짓이었다.

김 여사와 김씨가 같은 시간 나란히 출석해 조사를 받게 되면서 집사 게이트 등과 관련해 진술이 엇갈리는 부분에 대해선 대질신문이 이뤄질 수도 있다.

김씨는 그간 자신은 김 여사 일가의 집사가 아니라며 IMS모빌리티 투자금이나 자신의 투자 수익 등에 김 여사가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여사는 2022년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한테서 6000만원대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를 수수한 의혹도 받는다. 이 회장 측에서 인사청탁을 동반한 정황이 드러나 이번에 특검이 법리를 적용할지 관심이다.

목걸이와 관련해 알선수재 혐의 외에 윤 전 대통령과 공모한 것이 입증되면 뇌물죄가 적용될 가능성도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 여사가 '경제공동체'라는 논리가 차용된다면 가능하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김 여사와 달리 특검조사를 거부하고 있어 공모를 입증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검은 물증과 정황 확보를 시도하며 혐의 적용 범위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