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7월 호우 피해액 1조848억원 확정…최근 10년간 1위

호우 피해 지역 점검하는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사진연합뉴스
호우 피해 지역 점검하는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6∼20일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액이 1조848억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최근 10년간 자연재난 피해액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7일 심의를 거쳐 피해액과 복구비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인명피해는 사망·실종 24명, 부상 33명 등 총 57명으로 집계됐다. 주택 4927동(전파 227동, 반파 220동, 침수 4480동)과 농·산림작물 3만556헥타르, 농경지 1447헥타르, 가축 약 186만 마리가 피해를 입었으며, 소상공인 업체 5480곳도 타격을 받았다. 공공시설은 하천 1017곳, 소하천 1609곳, 산사태 654곳, 도로 806곳 등이 손상됐다.

복구비는 총 2조7235억원으로, 이 가운데 2조4538억원이 공공시설 복구에 투입된다. 단순 기능 복구에 1조3520억원, 방재 성능 개선에 1조1018억원이 배정됐다. 나머지 2697억원은 피해 주민 재난지원금으로 지원된다. 전파 주택의 경우 기존 지원금에 6000만원을 추가하고, 풍수해보험 가입자는 보험금 외에 3200만원을 더 받는다. 농민에게는 최대 11개월분 생계비가 추가로 지급되며, 피해 농작물과 산림작물의 지원 단가와 지원율도 상향 조정됐다.

소상공인 지원금은 기존 5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확대됐다. 일반 재난지역은 국세 납부 유예, 국민연금 납부 예외, 재해복구자금 융자 등 24개 혜택이, 특별재난지역은 전기·도시가스 요금 감면 등 13개 혜택이 추가로 제공된다.

복구비는 국가가 1조9951억원, 지자체가 7284억원을 분담한다. 정부는 국고보조금을 신속히 교부해 지원과 복구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복구계획은 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과 재해 예방을 위해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했다”며 “피해지역이 더 안전하고 강한 생활 터전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