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하닉, H20 中 수출 재개에 안도…가격인하 압박 우려 공존

  • 엔비디아·AMD, 美에 中 수익 15% 납부키로

  • '수익 15% 지불' 조건, 가격 인하 압박 우려

  • 삼성, HBM 가격 정책으로 점유율 방어할 듯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저사양 인공지능(AI) 칩 H20의 중국 수출을 허가했다. H20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가 탑재되는 만큼 수혜가 예상된다. 다만 엔비디아 등이 수익성 악화를 감내해야 하는 구조라 국내 반도체 기업이 가격 인하 압박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공존한다.

11일 외신과 업계 등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하면서 대중 반도체 수출 허가를 받았다.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H20에 4세대 HBM3를 공급하고 있고, 올해 초부터는 SK하이닉스의 5세대 HBM3E도 H20에 탑재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아직 HBM3E가 엔비디아의 퀄테스트(품질 검증)를 통과하지 못해 HBM3 공급 여부가 더욱 중요한 상황이다.

이번 AI 칩 대중 수출 재개로 삼성전자의 HBM3 공급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H20과 MI308 중국 수출 허용으로 올해 글로벌 HBM 수요는 기존 전망 대비 3% 증가할 것"이라고 봤다.

실제 중국에서는 바이트댄스, 텐센트 등 현지 기업들의 H20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호재를 누릴 수 있는 여건이다. 
 
삼성

문제는 엔비디아 등이 대중 수출 허가를 받는 조건으로 중국 내 반도체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불하기로 했다는 점이다.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해 고통 분담 차원에서 국내 기업에도 가격 인하를 요구할 수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고객사들의 중국 수출 재개 자체는 긍정적"이라면서도 "가격 인하 등 추가적인 압박이 있을 수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격을 일부 낮춰도 HBM 판매 확대로 얻는 반대 급부가 더 클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리서치 업체 번스타인은 엔비디아가 올해 중국에 약 150만개의 H20 칩을 판매해 230억 달러(약 32조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HBM 판매 단가가 실시간 시장 가격보다 기존 계약 기반으로 형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가격 정책 대신 점유율 확대가 더 중요하다. 삼성전자가 수익성을 양보하면서도 점유율을 끌어올리는데 주력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삼성은 H20용 HBM3를 시장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12단 제품의 공급 단가를 큰 폭으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