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행사에는 일본 103개 학교 교직자를 비롯해 유관 단체, 일본 지자체 관계자 등 120여 명과 한국 교직자 50여 명 등 170여 명이 참여했다. 교류회에서는 전문가 강연과 교육여행 지원 프로그램 참여 사례발표, 교육여행 지원제도 소개 등을 통해 청소년 교육여행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아주대 김경일 교수가 ‘인공지능(AI) 시대의 교육여행과 문화지능’을, 여행작가 태원준이 ‘청소년을 위한 서울 여행지’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고,세종시 문화관광재단이 일본 주오대 스기나미고교와 세종지역 고등학교 연합 교류 사례를 발표했다.
양국 교직자들은 교육여행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 대학생이 밝힌 현장 경험을 토대로 자매결연, 상호방문 등 학교 간 국제교류 동반자를 찾는 계기를 마련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청소년들이 교육여행을 통해 한국에 좋은 인상을 받는다면 잠재적인 재방문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며 “이번 교류회가 한·일 교육여행 네트워크 복원과 수요 확대에 실질적인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 이번 행사가 향후 60년을 준비하는 교육여행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