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할 예정인 국가별 상호관세가 협상을 통해 인하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는 시장 불안과 고용지표 악화에도 관세 정책이 '최종 합의'된 사안이라며 재조정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NBC뉴스에 출연해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들에 대한 관세가 "사실상 확정됐다"고 말하며, 이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약 55%를 포괄하는 국가들이라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시장 혼란이 관세 정책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아니다. 나는 그런 가능성은 배제한다고 본다. 이건 최종 합의이기 때문이다"라고 답했다. 이어 금융시장의 반발이나 투자자들의 불확실성이 정책 선회를 유도할 것이란 관측에 대해선 "시장은 우리가 하는 일을 봤고, 그걸 환영했다"며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이날 미국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며칠 내에 상호관세율이 낮아질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것들(국가별 상호관세율)은 합의에 따라 정해진 관세율"이라며 "일부는 발표됐고, 일부는 그렇지 않다. 다른 것들은 무역 적자 수준 또는 흑자 수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세율은 거의 확정된 상태"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 문제를 검토할 때 잠재적 협상안 및 국가들이 제시한 양보를 검토하며, 이를 무역적자를 줄이려 적용할 수 있는 관세와 비교하고 고문들과 논의한 뒤 결정한다"며 "때로 해당 국가가 협상 조건을 더 적합하게 만들려 추가 양보를 제시한다"고 말해 여지를 남겼다.
또한 그리어 대표는 지난주 부정적인 고용지표가 발표된 것과 관련해 "세법안(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통과됐고, 세금의 방향을 더 명확히 알게 됐기 때문에 이제 훨씬 많은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며 "따라서 나는 그 수치에 관세 정책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미 노동부는 지난 5∼6월 2개월간 일자리 증가 폭을 대폭 수정한 것을 두고는 "우리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원한다. 수정은 항상 있지만, 극단적인 방향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고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노동부 고용통계국장을 해임한 것에 대해선 "대통령은 행정부 인사를 임명할 권한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리어 대표는 미국의 2대 교역국인 캐나다에 3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된 배경으로 캐나다 측의 보복 조치를 지목했다. 그는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무역 조건을 개선하려 노력 중이며 협상 가능성이 있다는 찾을 것이라는 게 우리의 입장"이라며 "그렇지 않다면 현 관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기본관세 10%에 40%를 추가해 50%의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해선 "40%의 관세는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따라 부과된 것으로, 지정학적 문제에 이런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정상적"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