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여파에도 하반기 첫 실적 '선방'"… 국내 완성차 5사, 7월 판매량 일제히 상승

  • 현대차·기아 판매량 전년 수준 유지

  • 한국GM, 대미 수출 확대로 내수 만회

  • KGM·르노도 두 자릿수 성장률 기록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국내 완성차업계가 미국 관세 영향 속에서도 7월 판매량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대 내표 기업인 현대자동차·기아가 견조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한국GM도 대미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내수 부진을 만회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KGM) 등 5개사의 총 판매량은 64만6614대로 전년 동기(63만1416대) 대비 2.4% 증가했다. 내수 판매는 11만926대로 0.9% 늘고, 수출은 53만5188대로 2.4% 늘어났다.

현대차는 지난 7월 국내 5만6227대, 해외 27만8567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총 33만4794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국내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한 5만6227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1만4483대, RV는 2만3258대 판매됐다.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총 8227대, 포터는 4296대, 스타리아는 3632대,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204대 판매됐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27만8567대를 판매했다.

기아는 7월 국내 4만5017대, 해외 21만7188대, 특수 500대 등 총 26만2705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0.3% 늘었다. 스포티지가 4만6901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다.

국내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한 4만5017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카니발(7211대)이다.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0.9% 증가한 21만7188대를 기록했다. 스포티지가 4만1477대로 해외 최다 판매 모델에 올랐다. 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116대, 해외에서 384대 등 총 500대를 판매했다.

한국GM은 7월 내수 1226대, 수출 3만1018대로 총 3만2244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42.9% 증가하며 올해 2월 이후 5개월 만에 판매 상승세로 전환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52.3% 증가한 총 3만1018대를 판매했다. 이 중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3.8%, 66.0% 증가한 1만8115대와 1만2903대 판매됐다.

다만 내수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44.2% 급감한 총 1226대에 그쳤다.

KG모빌리티는 7월 내수 4456대, 수출 5164대 등 총 9620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15.7% 증가했다. 지난 4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다.

내수 판매는 지난달 14일 출시한 액티언 하이브리드(1060대)와 무쏘 EV(1339대) 효과로 올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출은 튀르키예 지역으로 토레스 EVX 판매 물량이 늘며 전년 동월 대비 26.7% 증가했다. 누계 대비로도 9.4% 늘었다.

르노코리아는 7월 내수 4000대, 수출 3251대로 총 7251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33.1% 증가한 물량이다.

내수 판매는 3029대가 팔린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그랑 콜레오스'가 견인하며 전년 동기 대비 172.3%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수출은 아르카나(2507대)와 그랑 콜레오스(수출명 뉴 르노 콜레오스·744대)가 견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