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테슬라에서 23조원에 달하는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벗은 뒤 처음 전해진 메가톤급 호재라 '뉴 삼성' 재건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보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28일 글로벌 대형 기업과 총 22조7648억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 300조8709억원 대비 7.6%에 해당하는 규모다. 반도체 부문 단일 고객사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다. 계약 기간은 이달 24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다.
삼성은 비밀 유지 의무에 따라 계약 상대와 체결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계약 사실을 상세히 알렸다.
머스크 CEO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삼성의 텍사스 대형 신공장은 테슬라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삼성은 AI4 칩을 생산 중이며 TSMC는 AI5 칩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AI4·AI5·AI6는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용 AI 칩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연간 수조 원대 적자를 내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대형 고객사를 좀처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올해 2분기 시스템LSI사업부와 함께 조 단위 적자를 냈다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위기감이 컸으나 이번 계약을 발판으로 재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삼성 파운드리의 초미세 공정 수율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왔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향후 글로벌 빅테크와 추가 계약을 맺을 공산이 크다. 끊이지 않았던 '파운드리 분사설'도 사실상 해소됐다.
특히 지난 17일 대법원 판결로 이재용 회장이 사법 족쇄에서 벗어난 직후 터진 잭팟이라 반도체 사업 반등과 경쟁력 강화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이 회장의 경영 보폭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달 말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열리는 구글 캠프에 참석하는 이 회장은 빅테크 리더들과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 사업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 경영 리더십이 온전히 회복된 만큼 삼성전자 실적 개선과 기술 경쟁력 복원이 신속히 추진될 것"이라며 "테슬라발 파운드리 계약도 그룹 분위기를 일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