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기존에 부과한 25% 관세를 절반인 12.5%로 낮추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일본 수입차에 대한 미국 관세율은 기존 2.5%를 합친 15%로 합의됐다.
일본 정부는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자동차 시장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상호관세에 더해 자동차 관세 인하까지 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일본 대미 무역 흑자 중 80%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겨냥해 일본 수입차 시장 개방을 계속 요구해왔다.
일본이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인하에 성공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계도 조심스럽게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일본이 미국의 자동차 시장 개방 요구를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진행될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에서 미국이 일본과 같은 요구를 밀어붙일 가능성도 점쳐진다.
전보희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동향분석실 연구위원은 "미·일 무역 합의는 막대한 투자와 시장 개방 등 복합적인 보상책이 결합된 예외적인 상황"이라며 "한국이 (일본과 같은) 혜택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나라도 현지 생산과 투자 확대, 시장 개방 등 다양한 대응을 한다면 (관세 후폭풍이) 개선될 여지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관세가 일본처럼 낮아지길 기대하고 있지만 정부 협상이 잘 되지 않을 것에 대비해 하반기에도 관세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경영전략을 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