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각국과의 대화는 계속되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한의 지렛대를 확보했고 우리는 시간에 쫓기기보다 높은 수준의 합의를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최근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합의를 사례로 들며 “인도네시아는 총 다섯 차례 수정안을 제출했고, 결국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EU와의 협상에 대해서는 “미국은 EU와의 무역에서 큰 적자를 보고 있으며, 관세는 EU 측에 더 큰 타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EU가 전보다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서고 있지만, 일부 인사들은 협상 속도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특히 베선트 장관은 “러시아산 석유를 사는 나라는 100% 2차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며, 유럽 동맹국들에도 동조를 촉구했다. 이는 중국에 대한 2차 제재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그는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를 "방 안의 코끼리"로 지목하며, 중국이 수출 중심 구조에서 내수 중심으로의 '경제 재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연준(Fed)을 향한 비판도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연준이 성공적인 기구였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도 연준이 움직이지 않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해임과 관련한 질문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결정을 내린다”며 즉답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