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AI 바이오 분야 세계 1강 지향하겠다"

  • 첫 현장방문지로 KIST 서울바이오허브 택해

  • 과기정통부, AI 통한 기초과학 혁신 견인할 것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나선혜 기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1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바이오허브에서 AI 바이오 산업 전망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나선혜 기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AI 바이오 분야 세계 1강을 지향하겠다"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21일 오후 동대문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바이오허브를 방문한 자리에서 “AI 바이오 기술 개발과 바이오 데이터 전 주기 지원 등을 아우르는 국가적 로드맵인 ‘AI 바이오 국가전략(가칭)’을 마련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방문은 배 장관 취임 후 첫 일정이다. 

이날 배 장관은 서울바이오허브 입주기업인 사이알바이오, 큐어버스, 바이오미 등을 차례로 방문해 연구 현황을 살펴본 뒤 산·학·연 AI 바이오 연구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그는 "기초과학과 AI 결합으로 시너지가 날 수 있는 부분을 많이 고민했다"며 "몇몇 업체를 방문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실질적 성과가 있어 기대가 크다"고 했다. 

배 장관은 에이전틱AI 시대에서 바이오 분야를 리딩하기 위해서는 기존 AI와 과학 분야 간 결합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과기정통부는 '과학을 위한 AI(AI for science)'라는 관점으로 관련 인프라를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AI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제안이 쏟아졌다. 산업계에서는 정부에서 AI 바이오 관련한 메가 펀드를 만들어 기술 중심으로 투자를 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 

조성진 큐어버스 대표는 “정부 차원에서 AI 바이오 메가펀드를 조성해 직접 운용해 달라”며 “벤처캐피털(VC)은 보수적인 경향이 있어 정부가 10~15년간 장기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이랑 온코크로스 대표도 “신약 개발을 시작한 지 10년 지났지만 상업화로 가기 위해서는 실증이 핵심”이라며 “이를 위한 투자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계에서는 AI 바이오를 활성화하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정성원 가천대 교수는 "데이터는 보건복지부와 관련 있고, 인력 양성은 교육부와 연관돼 있다"며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부처별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연속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민호 동국대 교수는 "기존에 AI 바이오 연구를 추진하던 전문 인력들이 많다"며 "기존에 했던 연구를 우선 활용해 달라"고 했다. 

연구계에서는 연구 주체자들이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달라고 제안했다. 지승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소장은 "AI 바이오 혁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AI 분야 전문가와 바이오 분야 전문가가 만나서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어야 한다"며 "과기정통부가 그런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배 장관은 "AI 바이오만큼은 3대 강국이 아닌 1강을 목표로 성공 사례를 함께 만들어 나가자"며 "AI를 통한 기초과학의 혁신, 특히 바이오 분야에서 특화 분야를 만들면 다른 나라가 따라잡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