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테크 기업 빅밸류는 자사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빅밸류 플랫폼’의 AI 데이터 분석 도구를 11종으로 확대하며 데이터 커버리지를 대폭 강화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월 출시된 ‘빅밸류 플랫폼’은 1000종 이상의 공간·인구·상업 데이터가 집약된 빅밸류 데이터 허브를 실시간으로 조회·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다. 데이터 수집·가공·생산 과정이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99% 자동화된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플랫폼에서 제한적으로 제공되던 서비스를 프리플로우(Free Flow) 형태로 무료 개방해, 누구나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능을 경험할 수 있게 했다. 별도의 회원가입이나 비용 부담 없이 빅밸류 홈페이지 PC 버전에서 ‘무료로 체험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 쓰이는 플로우란 데이터를 조회·분석해 결과를 도출하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도구다.
부동산 중개업계에서는 아파트 단지별 시세와 임차인 만기 정보로 신규 매물 등록을 예측하고 영업에 접목하는 것을 진행 중이며, 주요 감정평가법인은 전국 단위 임대료 데이터를 통한 임대업이자상환비율(RTI) 산정 등에 대한 실무 적용을 앞두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점포 개발 및 입지 분석에 이용하고 있다. 향후 예비 창업자는 유망 입지 선정을 위해 해당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다. 상업용 부동산 시행사는 임대료, 업력, 업종 등 데이터로 최적의 임차인을 선별해 공실 리스크를 관리하는 등 각 도메인에 최적화된 버티컬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한 다각적인 협업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구름 빅밸류 대표는 “이번 데이터 개방을 통해 업계 최고 전문가들이 신뢰하고 활용하는 빅밸류의 데이터 인프라를 더 많은 분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 맞춤형 인사이트 제공과 데이터 사용 경험 확산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