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여름 방학과 휴가가 시작되는 7월 하순 물놀이로 인한 사망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물놀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이다. 이 중 7월 하순에 가장 많은 31명이 발생했다.
물놀이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하천(강)으로 39명(35%)의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뒤이어 계곡 33명(30%), 해수욕장 25명(22%), 바닷가 15명(13%) 순이다.
사고 원인은 구명조끼 미착용 등 안전부주의 41명(37%), 수영미숙 38명(34%), 음주수영 19명(17%) 등이다.
연령대별로는 50대와 10대가 각각 22명, 21명으로 많았다. 10세 미만 사망자도 7명으로 확인돼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한다. 수심이 깊고 물살이 빨라 물놀이가 금지된 구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고 가급적 안전요원이 있는 장소를 이용한다.
김주이 행안부 안전정책국장은 “7월 하순부터는 방학과 휴가철이 본격적으로 시작해 물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급증하는 시기”라며 “물놀이를 즐기실 때는 안전수칙을 꼭 지켜 달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