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

  • 우리나라 17번째 세계유산

  • 프랑스 파리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가 12일(현지시간) 오전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이후 15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 유산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또한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하여 보여준다고 평가하였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할 것 △반구천세계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할 것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주민들의 역할을 공식화할 것 △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계획에 대해 세계유산센터에 알릴 것을 권고했다. 1965년 건설된 댐으로 인해 해마다 물에 잠기는 문제가 발생했던 만큼, 향후 보존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도록 한 셈이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오전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사진은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최종 결정에 기뻐하는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이번 반구천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이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감사발언을 통해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해 주신 데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이 유산은 암각화 전통을 보여주는 매우 특별한 사례로, 선사·고대 사회의 정신세계와 삶의 모습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위원회의 결정은 이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국제사회가 인정한 것"이라며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지방정부와 적극 협력하여 해당유산을 잘 보존하고 유산을 미래 세대에 온전히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암각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오전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사진=국가유산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